Q: 현대인들이 회사 생활을 하면서 업무를 혼자서 수행하기가 어렵고, 결정을, 내린 후에도 제가 맞는 결정을 한 것인지 늘 노심초사하여 스트레스가 점점 심해지고 있습니다. 지금은 누군가 안심을 시켜주지 않거나, 결정을 내려주지 않으면 불안해서 견딜 수 없을 정도입니다. 주변에서는 “결정 장애인 것 같다”라고 이야기하는데, 저 자신도 이런 제가 너무 창피하고 견디기 어렵지만 어쩔 수 없이 매번 비슷한 패턴이 반복됩니다. 스스로 결정을 내리기가 너무 어려운 저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A: 타인에 대한 조언이나 확신 없이는 결정하는 과정이 너무 괴롭게 느껴지시는군요. 이는, 단순히 “귀찮다, 하기 싫다”라는 동기나 활력이 부족해서라기보다는 자신이 잘할 수 없다는 과도한 두려움과 연관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다른 사람이 보기에는 잘 맞추어 주고 “예스맨”처럼 거절을 하지 않는 사람으로 비칠 수 있지만, 실제 내면은 자신에 대한 확신감이 부족한 분입니다.
즉, 수동적이고 타인을 우선시하는 사람으로 자율성과 같은 자신이 잘할 수 있다는 스스로의 능력과 관련된 부족함을 늘 느낄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자신이 원하는 것과 타인의 욕구 충족 간의 균형을 맞추는 과정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평소 대인관계에 집중하여, 자신의 의지할 수 있다고 믿는 사람에게 정서적 지지, 삶의 방향성, 확신 등을 구하게 되기에, 전반적인 본인의 삶의 질은 우선순위에서 점점 밀려 나가게 됩니다. 이에, 관계 내에서 수동적인 역할에 익숙해져서 자신이 원하는 것이 분명하지도, 중요하지도 않게 되는 등 자신을 점점 잃어가는 악순환이 반복되는 것이지요. 그러면, 스스로 결정 내리기가 어려운 분들이 꼭 해야 할 연습은 무엇이 있을까요?
“ 자신의 솔직한 감정을 인식하고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합니다. ”
스스로에 대한 확신과 자신이 부족하기에 주도성을 갖고 책임지는 역할 또한 피하게 될 수 있습니다. 책임과 관련된 회피는 스스로에 대한 감정을 알아차리지 못하는 것과 연관이 될 수 있습니다. 즉, 타인에게 지속적인 확인과 점검을 받기 위해 자신이 원하는 욕구를 알아차리기 어렵게 된 것으로 짐작됩니다. 하지만, “욕구”가 없는 사람이란 존재할 수 없습니다.
스스로 원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 솔직한 감정을 인식하고 소통할 수 있는 자기표현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가장 가까운 가족, 친구에게부터 솔직한 감정을 표현하는 연습을 해봅니다. 그러나, 거부당할 것이 너무 두려워 가까운 관계에서조차 시도하기가 어렵다면 상담센터를 방문하여 상담사와의 관계에서 솔직한 감정 표현을 연습해 보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자신이 주체가 되어 시도할 수 있는 행동목록을 작성합니다. ”
늘, 다른 사람이 욕구부터 챙기고 여러 가지를 고려하느라 결정을 내리기 어려웠다면 먼저 아주 작은 일이라도 스스로가 주체가 되어 시도할 수 있는 목록을 작성해 봅니다. 구체적으로 난이도를 조절하여 1~10 정도의 난이도 중 쉽게 결정할 수 있는 것을 “1”로 설정하여, 혼자서는 결정이 어려워 반드시 도움을 받아야 한다는 것을 “10”으로 함으로써 행동목록을 작성해 봅니다. 처음에는 1~3 정도의 수준에서 연습하다가, 점점 성취감이 느끼면 난이도를 높여 “하루에 2~3개씩 스스로 결정하고 확장해 보자.”라는 목표하에 꾸준히 연습하는 과정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요즘에는 가상현실에서도 연습해 볼 수 있는 환경이 있으므로 실제가 어려워 시도를 할 수 없다면, 가상 현실 내에서 목표를 세우고 결정하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즉, 난이도로 설정하여, 행동 레퍼토리를 만들고 충분히 연습하여 실행하고 표현한 다음, 실제 관계에서까지 확장해 나갈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작은 성취 경험을 할 수 있도록 도움으로써 스스로의 자원을 찾고 활용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대부분 스스로 결정을 내리기 어려운 분은 자신의 행동에 대해 책임지는 것을 지속해서 거절하면서 스스로 사랑과 애정을 받을 가치가 없다는 비합리적 사고를 지속해 나갈 수 있습니다.
즉, 의존적 대상 없이는 스스로 결정할 수 없다는 타인 중심적인 사고가 높아져 있기에 원하는 것을 실행하고 책임지는 아주 작은 경험이라도 반복하는 과정이 중요합니다.
평소 타인 중심적인 사고를 할 수밖에 없는 불안감과 비합리적 사고가 자신의 생활 전반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고 있는지 알아차림으로써, 점차 개인적인 자유를 늘려나가는 과정을 경험해 보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자존감을 높일 수 있게 자신에게 항상 좋은 말을 많이 해주세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