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본문 바로가기

우유3

디저트로 먹는 피스타치오 비밀 알아보기 딱딱한 껍질 안에 독특하고 맛있는 향이 나는 초록색 견과류 피스타치오는 아이스크림, 마카롱, 쿠키와 같은 디저트에 자주 사용되는 친숙한 견과류입니다. 이처럼 친숙한 견과류 피스타치오 중 미국에서 재배되는 피스타치오를 로스팅했을 때에 완전 단백질의 조건을 충족한다는 사실이 최근 발표됐습니다. 그래서 이것은 피스타치오가 퀴노아, 병아리콩, 콩을 즐겨서 먹는 채식주의자이고 동물성 단백질을 먹고 싶어 하지 않는 사람들이 편안하게 먹을 수 있는 식물성 단백질로 이름을 올렸습니다. 또한 FDA가 인정한 피스타치오는 단백질의 공급원으로 인식되어 왔고,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완전한 단백질을 "모든 필수 아미노산이 적정량으로 함유된 식품"이라고 정의했습니다. 지난해 10월 17일 아일랜드 더블린에서 열린 유럽영양학.. 2023. 1. 31.
무결점 식품 : 우유에 대한 오해 VS 진실 우유는 가장 완벽한 식품이다라는 말이 있다. 고대 의학을 집대성한 인물이자 의학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히포크라테스가 한 말이라고 하는데요. 이후 여러 연구에서 우유에는 단백질, 무기질, 비타민 등 무려 144가지 영양소가 들어있는 것으로 확인되어 우유의 중요성을 강조했던 히퍼크라테스의 말은 관언이 아니게 밝혀졌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우유의 기록은 우리나라에서도 오래전부터 소를 실러 먹거리를 얻었지만 삼국유사에 농축유제품을 의미하는 락이 등장한 것을 보면 삼국시대부터 본격적으로 유제품을 만들었다고 짐작을 하게 됩니다. 고려시대에는 유우소라는 국가 상설기관을 설치해서 왕실 및 귀족들만 우유를 먹었을 정도로 고급 식품이었을 것으로 판단이 됩니다. 조선 후기 제21대 왕 영조 또한 우유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조선.. 2023. 1. 3.
간식 : 내 몸에 독이 되는 간식 똑똑하게 먹기 우리는 간식을 중간중간의 영양소를 보충하거나 아니면 많은 활동으로 인해 에너지를 보충이 필요하거나 아니면 무언가를 먹고 싶고 출출한 경우에 간식을 많이들 먹는다. 습관적으로 간식을 먹는 사람들도 있다. 먹지 않으면 어진가 허전한 마음 때문에 먹는 경우가 많이 있다. 그러다 보니 간식은 영양소도 보충하고 배고프기 전 폭식을 막는다는 정점은 있으나, 영양소가 불균형한 간식을 섭취하거나 과도하게 먹을 경우 비만, 당뇨, 고혈압, 고지혈증이 발병할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하다. 간식은 내 몸에 독이 아닌 득이 되어야 한다. 그렇게 하려면 간식을 제대로 먹어야 한다. 어떻게 하면 간식을 우리 몸에 득이 될 수 있게 먹을 수 있을까. 과자, 라면, 치킨 피하고, 우유, 달걀, 채소 위주로 우리가 섭취하는 주된 간식들.. 2022. 12.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