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정말 간절하게 원하는 것이 맞는가?
원하는 것을 찾을 수 있나
우리는 살아가면서 남들과 비교를 많이 한다. 그러다 보니 자신이 무엇을 해야 할지 모르는 경우가 많다. 나는 이것을 못하는데 저 사람은 나보다 더 잘하잖아. 내가 할 수 있는 것이 있을까 하는 생각을 많이들 하는 것 같다. 그렇게 생각하면 아무것도 찾을 수 없다. 자신은 이 세상에 태어날 때 이 세상에 무엇인가를 만들어 놓기 위해서 태어났다는 것을 꼭 기억하라.
모든 사람들은 다 틀리다. 각자마다 자 사람이 할 것들이 있다고 생각한다. 그것이 다른 사람들과 겹치는 것이 있더라도 자신이 할 수 있는 영역이 있다는 것이다. 그러니 누구나 자신이 원하는 것을 찾아갈 수 있다는 것이다. 다른 사람들이 할 수 있다면 나도 할 수 있다는 것을 꼭 기억하라.
김태연 회장님의 좌우명이 생각이 난다.
He can do, She can do, Why not me?
- 그도 할 수 있고, 그녀도 할 수 있는데, 나라고 못하게 씁니까? - Page 111 -
누구나 할 수 있다. 그리고 자신이 간절하게 원한다면 그 사람에게는 기적이 만들어진다고 한다.
이나모리 가즈오의 말을 한번 되세겨 보자.
높은 목표를 달성하려면 간절한 바람이 잠재의식에까지 미칠 정도로 곧고 강해야 한다.
주위의 시선에 우왕좌왕하지 말아야 한다.
하고 싶다면, 하고자 한다면 무슨 일이 있어도 그 길을 가겠다고 굳게 다짐하라.
그리고 반드시 이룰 수 있다고 굳게 믿어라.
그런 간절함이 없다면 처음부터 꿈도 꾸지 마라. - Page 114 -
우리가 성공을 할 수 없었다는 것은 간절함이 없었다는 것이다. 자신이 하고자 하는 간절함이 있다면 이루어지지 않을 것이 엇을 것이다. 그리고 그 간절함이 기적을 만든다는 것을 꼭 기억하라. 간절하지 않은 사람은 간절한 사람을 이길 수 없다.
나의 인생 만들기
자신이 살아가면서 자신의 진짜로 좋아하는 일을 찾는 사람은 얼마나 있을까요. 그러게 많지 않다고 생각한다. 누구나 자신이 먹고살기 위해서 직장을 잡고 그 직장에서 열심히 하다 보면 정년퇴직이 돼 버린다. 벌써 이렇게 많은 시간이 흘렀네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그러다 보니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찾기 위한 고민과 질문들을 많이 한다.
"일생의 일"의 저자인 김민태 PD는 평생 후회없을 일생의 일을 찾기 위한 방법을 다섯 가지의 질문을 던진다. 거기서 두 가지 질문으로 요약하면
1. 남의 기준이 아닌 자신의 기준에서 평생 그 일만 할 자신이 있는가?
2. 사회에 뛰어들 준비를 하되, 내가 정말 잘하는 것이 무엇인지 알고 있는가?
위의 질문에 대해서 답을 찾기는 쉽지 않다. 누구나 고민은 할 것이다. 그러나 그 대답의 답은 찾으려고 노력을 해야 하는 거지 그 답을 찾기 위해서 그것에 얽매이면 아무것도 찾을 수 없다. 그러나 그것을 찾기 위해서는 노력해야 한다. 자신의 마음가짐이 중요하다. 어떤 마음을 가지고 그 일에 접하는가에 따라 그 일이 자신에게 다가오는 것이 틀리다는 것이다. 일을 하는데 항상 재미없다고 하고 항상 찡그리면서 한다면 어떻까. 그 일이 자신에게 맞는다고 해도 자신의 것이 아닌 것 같다고 생각할 것이다. 그럼 자신은 영영 자신의 일을 찾을 수 없을 것이다. 나의 인생을 살라고 하고 있다.
우리는 자신이 하고 싶은 것을 찾으면 글로 쓰고 그것을 실행하라고 한다. 그래서 비젼보드 만들기도 유행이 된 적이 있었던 것 같다. 근데 최근에도 이런 붐이 일어나고 있다. 성공하는 방법으로 자신이 원하는 것을 이미지와 하는 것이다.
그렇게 하면서 자신이 뭘 좋아하고, 뭘 싫어하고 하는 것을 찾아서 자신이 하고 싶은 것을 찾아서 그 상황이 된 것을 이미지화해서 뇌에게 전달하고 잠재의식 속으로 밀어 넣어 자신의 것으로 만들고 성공으로 만들어 가는 과정인 것이다.
간절함을 위한 액션 플랜
모두가 원하는것을 찾기 위해서 노력하려고 하고 있다. 그 간절함이 성공으로 갈 수 있는 길을 만들어 주는 것이다. 그러니 그 가절함을 만들기 위한 실행력을 찾아보자
1. 배수의 진을 쳐라
- 간절함을 만들라는 것이다. 자신이 가진 것이 많으면 선택의 폭이 많다 보니 간절함이 사라진다고 한다. 그러니 간절함을 더 만들기 위해서는 배수의 진을 쳐라.
2. 시간을 재개발하라.
- 자신을 다시 만들려면 주택을 재개발하는 것과 같이 자신을 재개발해야 한다고 하고 있다. 사람마다 시간을 활용하는 방법을 다 틀리다. 그러나 과학적으로 보면 아침이 뇌가 가장 활성화된다고 한다. 그러면 우리가 간절함을 느끼고 싶다면
새벽을 깨워야 한다고 하고 있다. 그때가 알파파가 가장 많이 나오는 시간이라고 한다.
우리는 시간을 좋은 쪽으로 만들 필요는 있다. 그러나 새벽이 답은 아니니 자심만의 답을 찾아가야 한다. 새벽이 좋다고 제안을 하는 것뿐이다. 활용은 자신이 결정해서 실행하면 된다.
3. 꿈꾸는 이들과 함께하라.
- 우리는 이런 말을 많이 듣는다. 아프리카 코사족 속담이라고 한다.
" 빨리 가려면 혼자 가고, 멀리 가려면 함께 가라"
같은 꿈을 가진 사람들과 같이 가라는 것이다. 그럼 서로서로 도와주면서 선의의 경쟁도 하고 의욕도 생기고 자신이 원하는 곳에 갈 수 있는 확률이 더 높아진다는 것이다.
4. 미래의 실패도 그려보라
- 우리는 항상 성공만 상상한다. 그러다 보면 만약 실패를 한다면 대처 능력이 떨어진다. 우왕좌와 한다는 것이다. 그럼 자신이 그 실패 속에서 못 헤쳐 나오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실패를 그려 본다면 그 실패가 자신에게 왔을 때 헤쳐 갈 수 있는 능력이 있는 것이고, 자신의 마음 근육을 키울 수 있다는 것이다.
5. 나만의 쓸개를 준비하라.
- 인간은 망각의 동물이라고 한다. 어느 정도 기간이 지나면 잊어버린다는 것이다. 그러다 보면 같은 실수를 또 반복해서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아니 계속하고 있다. 근데 그 기억을 할 수 있는 자신만의 쓸개를 만든다면 그 기억을 잊지 않고 기억해서 자신의 성공 발판으로 만들어 갈 수 있다는 것이다.
여기서 말하고 싶은 것은 우리가 살아가면서 내가 간절하게 원하는 것을 찾고 그것을 만들어 갈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다. 사람은 누구나 틀리다. 그러나 배우는 것은 다 똑같다. 그것을 자신의 것으로 만든다면 자신이 찾을 수 있는 것을 좀 더 쉽게 찾을 수 있다는 잠정이 있다는 것을 잊지 말고 행동으로 옮기길 바라며, 간절함을 잊지 말자.
'Book'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 번이라도 모든 걸 걸어본 적 있는가 5부 (26) | 2022.11.07 |
---|---|
한 번이라도 모든 걸 걸어본 적 있는가 4부 (0) | 2022.11.07 |
한 번이라도 모든 걸 걸어본 적 있는가 2부 (0) | 2022.11.06 |
한번이라도 모든 걸 걸어본 적이 있는가 1부 (0) | 2022.11.04 |
WEALTHINKING(웰씽킹) : 부를 창조하는 마인드 2부 (0) | 2022.11.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