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역력을 키우는 첫 번째 언급한 젓가락으로 먹기 그 후로 두 번째로 싱겁게 먹기에 대해서 다루어 보려고 합니다. 그 후에도 세 번째, 넷 번째 이어서 언급하도록 하겠습니다. 자 그럼 싱겁게 먹는 것이 무엇인 좋은지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 혈압이 높다면 싱겁게 먹어라 ◆
최근에는 짜게 먹는 것이 사망률 변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연구결과가 나오면서 많은 사람들이 음식을 짜게 먹어도 괜찮겠다는 생각을 가지게 된 것 같습니다. 하지만 이것은 채소를 많이 먹고 발효식품을 많이 먹는 비교적 건강한 식습관을 가진 한국인에 한정된 연구이기 때문에 결코 안심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닙니다. 과도한 고염식은 장기를 직접 공격해 고혈압을 유발한다는 것은 자명한 사실입니다. 특히 고염식으로 망가지는 혈관과 심장은 한번 망가지면 다시 복구하기 힘들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많은 한국인들은 아직도 짜게 먹는 식습관을 버리지 못하고 있으며, 특히 기성세대에서 이러한 습관이 더 자주 발견되고 있습니다. 고염식은 고혈압이나 비만을 일으키는 가장 큰 원인이므로 건강을 위해서는 소금 섭취를 줄이는 것이 좋습니다.
◆ 소금을 적게 먹는 10 계명 ◆
1. 국물 섭취 하지 않기
국물에는 다량의 소금이 녹아 있습니다. 그래서 젓가락으로 식사를 하면서 국물은 먹지 말고 건대기만 먹는 것이 좋으며, 설렁탕이나 곰탕 같은 탕류를 먹을 때는 소금을 첨가하지 낳고 먹는 것을 추천합니다. 먹는 것이 너무 싱거우면 먹을 때에 김치나 깍두기와 곁들여 먹으면 된다.
2. 비벼 먹지 않기
양념장에는 맵고 짠 양념들이 다량 함유되어 있습니다. 비빔밥을 먹더라도 양념장을 될 수 있으면 적게 넣어서 먹는 것이 좋습니다.
3. 각종 염장류 음식 줄이기
한국 음식에는 소금이 다량으로 들어 있는 음식들이 많습니다. 간장, 된장, 고추장, 각종 젓갈 등이 이에 포함되므로 섭취량을 줄여야 한다.
4. 외식 자제하기
음식점에서 파는 음식들은 맛이 생명이기 때문에 자극적입니다. 싱겁게 먹는 습관을 들이기 위해서는 외식을 삼가야 한다. 외식을 꼭 해야 한다면 단골집에서 음식을 싱겁게 조리해 달라고 부탁을 해서 드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5. 각종 간식류, 패스트푸드 줄이기
가공식품으로 판매되는 과자는 사람들에게 팔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기 때문에 사람들의 맛을 자극하기 위해서 자극적인 맛을 첨가해서 만들 수밖에 없다. 간식을 멀리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간식을 아예 사지 않는 것이 제일 좋은 방법이다.
6. 소금 멀리 두기
소금을 사용양을 줄이기 위해서는 찾기 힘들거나 쓰기 힘든 곳에 비치해 놓는 것이 좋다. 요리를 하다 보면 자신도 모르게 습관적으로 소금을 뿌리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소금을 꼭 사용해야 할 경우에는 조금만 사용하고 다시 꺼내기 힘든 곳에 넣어 두는 것이 좋습니다.
7. 반식 다이어트
반식 다이어트는 열량만 반으로 줄이는 것이 아니라, 음식에 들어가는 설탕, 소금, 간장과 같은 조미료에 대해서도 반만 넣어 먹는 것을 의미한다.
8. 젓가락 식사로 국물 섭취 않기
1탄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싱거운 국물이라도 많이 먹으면 소금 섭취가 많아지는데, 젓가락으로 식사를 하면 국물 섭취를 할 수 없기 때문에 소금 섭취량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습니다. 아시죠 숟가락을 쓰지 마세요.
9. 소금을 필수에서 선택으로 바꿔라
음식을 조리할 때에는 소금을 전혀 넣지 말고, 식탁에 소금을 두고 원하는 사람들만 소금을 넣어서 간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10. 짠 음식은 물에 헹궈 먹기
김치, 깍두기, 나물이 매우 짠데도 음식 맛을 버릴까 봐 그냥 먹으면 안 된다. 내 몸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음식에 대한 예의보다는 내 몸에 대한 예의를 중시해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음식을 짜게 먹는 것이 몸에 좋지 않다고 합니다. 세계적으로도 음식을 짜게 먹지 말라는 활동을 많이들 하고 있습니다. 음식은 싱겁게 드시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그러니 너무 짜게 드시지 말고 너무 싱거우면 맛도 없으니까. 적당하게 해서 드시면 좋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항상 건강 조심하세요.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 관리 : 당뇨 약 없이 낫게 하는 비밀 (0) | 2023.02.18 |
---|---|
건강 관리 : 면역력을 높이는 4가지 식사 법 비밀 3탄 (0) | 2023.02.17 |
건강 관리 : 암 환자들이 꼭 알아야 하는 건강 습관 8가지 비밀 (0) | 2023.02.15 |
건강 관리 : 면역력을 높이는 4가지 식사 법 비밀 1탄 (0) | 2023.02.14 |
건강 음식 : 쑥이 우리 몸에 미치는 영향은? (0) | 2023.02.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