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음식을 배부르게 먹은 뒤 누구나 트림을 해본 경험이 있을 것이다. 트림은 음식을 섭취하면서 입을 벌릴 때 들어간 공기가 위에 모여 있다가 가스 형태로 식도를 거처 배출되는 현상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이러한 트림을 하루 때 평소보다 매우 고약한 냄새가 날 경우가 있는데요, 이때는 그냥 넘어가기보다는 건강검진을 한 번씩 받아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위장을 비롯해 각종 신체 기관에 이상이 생겼다는 신호일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트림은 냄새와 맛의 종류에 따라서 각기 다른 질환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트림 냄새별로 의심이 가능한 질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쓴 냄새
트림에서 쓴 냄새와 맛이 날 경우 담낭 운동장애와 십이지장 궤양을 의심해볼 수 있다고 합니다. 담낭 운동장애는 담즙이 십이지장에서 아래로 내려가지 않고 위장으로 역류할 때 발생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담즙은 쓸개즙이라고도 불리는 일종의 소화액이라고 합니다. 담낭 운동장애로 인해 위장에 남아있는 담즙은 알칼리성을 띠고 있기 때문에 트림할 경우에는 쓴 냄새가 식도를 타고 올라오는 것입니다. 담낭 운동장애의 원인은 십이지장 궤양인 경우가 많습니다. 위와 십이지장 사이에 있는 유문이 약화되어 제 기능을 하지 못해서 담즙이 역류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담낭 운동장애와 십이자장 궤양 모두 약물로 치료가 가능하니 확인이 되면 병원에 방문해서 치료를 받으시길 바랍니다.
2. 싹은 냄새
트림할때 음식물쓰레기와 같은 역한 냄새가 날 경우에는 위궤양이나 위암을 의심해보아야 한다. 위궤양과 위암은 위 점막에 상처가 나는 병이라고 한다. 위궤양과 위암에 걸릴 경우에는 소화 기능이 떨어지는데, 음식물이 위에 오래 남아 있어 부패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음식물이 소화되지 못하고 부패되어 가스를 생성해 트림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썩은 냄새가 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위궤양은 위 점막을 보호하는 약을 처방받고 위산 분비를 억제하는 약물을 복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위암의 경우 절제가 가장 확실한 치료법으로 알려져 있으니, 이 또한 병원에 방문하여 확인 후 원인에 맞는 치료를 하기를 바랍니다.
3. 오줌냄새
트림을 하는 경우 입에서 오줌과 비슷한 남새가 날 경우에는 콩팥 이상을 의심해봐야 한다고 한다. 콩팥에 이상이 생기면 노폐물 배출 기능이 저하된다고 합니다. 이때 혈액에 요소와 질산염이 축적되는데, 이로 인해 트림을 할 경우 비린내가 섞여 올라올 수 있다고 합니다. 오줌 냄새는 콩팥 이상 때문에 발생하는 경우가 흔하지만, 탄수화물 부족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몸 속 탄수화물이 부족해질 경우 탄수화물 대신 지방이 분해되어 케톤이 생성되는데 이 케톤에서 오줌과 비슷한 냄새가 유발될 수 있다고 하니 이런 냄새가 날 경우에는 잘 확인하셔서 원인에 맞는 치료를 하시길 바랍니다.
4. 신 냄새
트림을 할 때 입에서 신 냄새가 나는 경우는 위식도역류질환이 의심되는 경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위식도역류질환은 위와 식도 사이를 연결해주는 괄약근의 힘이 약해졌을 때 발생한다고 할 수 있다. 트림할 때 위에 있던 위산이 역류해서 신맛이 느껴지는 것입니다. 위산이 역류할 경우 커피나 기름진 음식, 껌 등이 트림을 유발하는 음식을 최대한 자제하는 것이 좋다. 아울러 병원에서 위산억제제를 처방받아서 복용하면 차도가 나아진다고 한니 입에서 신냄새가 나는 경우에는 처방을 받아서 치료하시길 바랍니다.
상기와 같이 트림을 할때 입에서 나는 냄새도 우리 몸이 좋지 않다는 신호를 주는 경우라고 합니다. 그러니 입에서 냄새가 힘 하게 나는 경우에는 무시하지 마시고 꼭 원인을 확인해보고 치료를 받으시길 바랍니다. 건 강도 챙기고 입냄새도 나지 않아도 좋으니까요. 항상 작은 것에도 그냥 지나가지 마시고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한 마늘 : 흑마늘의 효과 (0) | 2022.12.30 |
---|---|
치아 관리 : 양치질 관리 방법 (0) | 2022.12.30 |
생리통 관리 : 약 부작용 및 관리 (0) | 2022.12.28 |
음주 관리 : 얼굴색으로 보는 관리 (0) | 2022.12.27 |
장수 운동 : 무병 장수 운동 (0) | 2022.12.26 |
댓글